'21년 상하반기 안전문화지수 설문조사 시행
□ 대한석탄공사의 안전문화 수준 및 안전문화 성취도를 평가하고 안전관리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문화지수(K-SCI) 
□ 근로자 안전문화 수준의 인식 점검 및 노력에 따른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
□ 정부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 및 정책 자료 지표로 활용하기위해
□ 21년도 상하반기 2회에 걸쳐 '21년 안전문화지수(K-SCI) 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.
 ● 목적: 석탄광산 전반의 안전문화 수준 평가 모델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위한 안전의식 수준 척도 마련
 ● 설문 내용: 정부정책 5개 문항 추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'20년 6개분야 30항목 ▶ '21년 7개분야 35개 항목)  정부정책 5개 문항 추가
   - (안전경영) 경영진의 안전의지 및 현장 관심도 평가 
   - (안전교육) 현장에서 시행중인 각종 교육 만족도 평가
   - (안전제도) 안전규정, 관리조직 등 안전제도 평가
   - (안전설비) 갱내 작업환경, 안전설비 등의 안전성 평가
   - (안전점검) 안전점검의 실효성 수준 평가
   - (정부정책) 정부정책 대응 안전관리 평가
    - (안전의식) 안전의식 제고 및 안전 활동 참여도 평가
 ● 대상: 본사·3개 광업소 관리자 및 근로자 210명(외주근로자 포함)
             - 21년 안전문화지수(K-SCI) 현장 중심평가에서 본사로 확대 시행
 
구분  | 
본사  | 
장성  | 
도계  | 
화순  | 
합계  | 
설문인원(명)  | 
10  | 
100  | 
60  | 
40  | 
210  | 
 



 □ '21년 하반기 안전문화지수(K-SCI) 설문조사 결과
  ● '20년 대비 '21년도 안전문화지수 1% 향상
  ● '21년 무재해 달성을 위한 기관장의 안전의지 전파, 홍보 및 노사가 함께하는 안전문화 캠페인으로 안전 중요성 강조 효과
  ● '20년 안전문화지수 설문 시행 후 취약항목에 대한 주기적 교육 실시 및 '21년 안전계획 수립에 반영 이행
  ●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훈련 수시 이행 점검 및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생활화 유도, 안전문화지수로 반영
  ● 재해사례 교육 및 유해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 파악 후 개선 절차 마련 
□ 7개 분야중 최고 득점: 안전의식(93점)
  ●  안전의식 자가진단 실시로 인한 안전의식 향상 결과
□  7개 분야중 최하 득점: 안전설비(90.4점)
  ● '20년 대비 0.9점 상승
  ● 전분야 평균 0.8점 상승 대비 높은 점수 획득
□  35개 항목중 최고 득점: 안전의식 향상운동 참여 의지(93.8점)
  ● 기관장 경영방침 "최고의 가치인 안전" 전사적 공유 및 현장 근로자와의 대면을 통한 안전 중요성 강조에 따른 안전 의지 향상
□  35개 항목중 최하 득점: 외부 위탁교육 제공 횟수(88.4점)
  ● (안전교육) 기능조정 기관으로 기능인력 유출에 따른 외부 외탁교육 증대 요구